분류 전체보기 (43) 썸네일형 리스트형 걱정하지마 ~ (Don't Worry와 No worries의 차이) **"Don't worry"**랑 **"No worries"**는 둘 다 걱정하지 마라는 뜻이지만,👉 말투, 뉘앙스, 쓰임새에 미묘한 차이가 있어요!아주 쉽게, 예시랑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👇✅ 1. Don't worry✔️ 뜻: “걱정하지 마세요 / 하지 마”직설적이고, 약간 위로하거나 진정시킬 때 자주 써요.상대가 실제로 걱정하고 있을 때 많이 씀.예문:"I'm so sorry I’m late."→ "Don’t worry! It’s totally fine."(괜찮아! 진짜 괜찮아~)"I think I messed up the project."→ "Don’t worry, we can fix it."(걱정 마, 고칠 수 있어.)💡 약간 더 진지하거나 위로하는 느낌✅ 2. No worries✔️ 뜻: .. Pass와 Get by의 차이점(통과하다, 지나가다) **"pass"**랑 "get by" — 둘 다 어떤 테스트나 상황을 통과하다는 느낌이 있지만,엄밀히 따지면 의미와 쓰임이 꽤 다르다구! 👇👇✅ 1. pass👉 합격하다, 통과하다 (정해진 기준을 충족함)딱 부러지게 “OK 받음”, “합격선 넘음”이라는 뜻!예문:I passed the exam!→ 나 시험 합격했어!Did you pass your driving test?→ 운전면허 시험 붙었어?🎯 기준점이 있고, 그걸 넘으면 pass야!✅ 2. get by👉 간신히 버티다, 겨우 해내다, 살아남다완벽하진 않지만, 최소한으로라도 “어떻게든” 되는 상태예문:My English isn’t great, but I can get by.→ 영어 잘하진 않지만 어찌어찌는 해.We don’t make much.. 'Pay + 전치사'의 모든 것 영어에서 pay는 정말 많이 쓰이는 동사인데,뒤에 오는 전치사는 문장의 구조나 의미에 따라 달라져.자주 쓰는 전치사들을 정리해줄게 👇✅ 1. pay for + [대상]→ 무엇에 대해 돈을 내다 (무엇을 사는지에 집중)예문:I paid for the coffee.→ 나는 커피 값을 냈어.Who’s going to pay for dinner?→ 누가 저녁값 낼 거야?✔️ 여기서 for는 "대가"의 개념이야.✅ 2. pay + [사람]→ 누구에게 돈을 주다 (대상을 사람으로 직접 받음)예문:I paid him yesterday.→ 어제 그에게 돈 줬어.Did she pay the waiter?→ 그녀가 웨이터한테 돈 줬어?✔️ 이 구조에서는 전치사 없이 직접 사람을 목적어로 씀.✅ 3. pay to + [동.. You're all set! (다 됐어요!) "You're all set!" 이 표현은 진짜 네이티브들이 엄청 자주 쓰는 말인데,직역하면 좀 애매하지만 실제로는 아주 실용적이고 다정한 표현이야.✅ "You're all set"의 의미👉 "이제 다 됐어요!", "준비 완료!", "다 처리됐습니다!"즉, 어떤 일이 완료되었고, 이제 더 이상 걱정할 게 없다는 뜻이야.🔹 예문으로 감 잡아보자!1. 가게나 식당에서점원이 계산을 다 마치고:🗣️ "Okay, you're all set! Have a great day!"→ 이제 계산 끝났고 갈 준비 됐어요! 좋은 하루 보내세요~2. 병원 접수할 때접수 도와주고 나서:🗣️ "You're all set. The doctor will see you soon."→ 접수 다 끝났고, 이제 곧 의사 선생님 만나시.. How do I get 과 How can I get의 차이! "How do I get" vs "How can I get" — 두 표현은 진짜 자주 쓰이고 비슷하지만, 느낌과 상황에 따라 살짝 다른 뉘앙스가 있어.✅ 기본 뜻은 비슷함:둘 다 **"어떻게 내가 ~할 수 있지?"**라는 뜻으로 번역될 수 있어.하지만… 차이점은 👇🔹 1. How do I get...?실제 방법, 일반적인 절차, 단계를 물을 때 써.뭔가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을 알고 싶을 때!예문:How do I get to the airport from here?→ 여기서 공항까지 어떻게 가요? (길, 교통편 등 실제 방법 묻는 중)How do I get a visa to study in Canada?→ 캐나다에서 공부하려면 비자를 어떻게 받아요? (절차, 신청 방법 등)🔹 2. How can .. Could use ~ 필요해! (Want to와의 차이) ✅ 기본 의미: 필요하다 / 있으면 좋겠다 / ~하면 좋겠다"could use"는 어떤 것이 있으면 좋겠다, 지금 그게 필요하다는 뜻으로 많이 써.🔹 예문으로 감 잡기I could use a break.→ 쉬는 시간이 좀 필요해. / 잠깐 쉬고 싶어.You look tired. You could use some rest.→ 너 피곤해 보여. 좀 쉬는 게 좋겠어.We could use your help.→ 네 도움이 필요해.I could really use a coffee right now.→ 지금 커피 한 잔 진짜 필요해.💡 포인트실제로 "지금 바로 원해", "지금 필요해" 같은 느낌이야.아주 공손하거나 돌려 말하는 방식이기도 해.→ “I need a break.” 보다 “I could use a b.. 해야 한다! (have to와 have got to의 차이) 영어에서 **"have to"**와 **"have got to"**는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고, 둘 다 "반드시 해야 한다", **"꼭 해야 하는 일"**을 말할 때 사용돼. 하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와 사용되는 상황에 차이가 있어. 간단히 정리해줄게!✅ 공통점둘 다 의무, 필요를 나타냄예:I have to go now. (나 지금 가야 해.)I have got to go now. (나 지금 꼭 가야 해.)🔹 차이점항목Have toHave got to✅ 문법적 특징일반적인 조동사/동사처럼 현재, 과거, 미래 모두 사용 가능현재 시제에만 사용 (특히 회화체에서 자주 사용됨)✅ 격식 정도좀 더 격식 있는 표현좀 더 구어체이고 비격식적인 느낌✅ 줄임말줄이면 보통 "have to" 그대로보통 "have got.. Would it be possible to~? (Is it possible to~? 보다 공손해!) 📌 "Would it be possible to ~ ?"✅ 의미:👉 "혹시 ~하는 게 가능할까요?"👉 정중하게 요청하거나 허락을 구할 때 사용👉 **"Can I ~ ?" / "Is it possible to ~ ?"**보다 훨씬 더 공손한 표현📌 "Would it be possible to ~ ?"를 쓰는 이유이 표현은 상대방에게 정중하게 요청을 하거나 가능성을 물어볼 때 사용됩니다.✔ "Can I ~ ?" (내가 ~ 해도 될까?) → 직설적이고 덜 정중한 표현✔ "Is it possible to ~ ?" (~하는 게 가능할까요?) → 기본적인 가능성을 묻는 표현✔ "Would it be possible to ~ ?" (혹시 ~하는 게 가능할까요?) → 더 정중하고 공손한 표현📌 비즈니스 이메.. 이전 1 2 3 4 5 6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