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(50)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부로 (on purpose) **“on purpose”**는 아주 자주 쓰이는 표현이고,뜻은 **“일부러, 고의로”**예요.⸻💬 기본 의미👉 on purpose = intentionally = deliberately→ 무언가를 실수로 한 게 아니라, 의도적으로 한 것을 말할 때 씁니다.⸻📘 예문영어 문장 해석 뉘앙스He broke my phone on purpose. 그가 내 폰을 일부러 부쉈어. (고의로 한 거야)I didn’t do it on purpose. 일부러 그런 거 아니야. (실수였어!)She ignored me on purpose. 그녀가 일부러 나를 무시했어. (기분 나쁠 때 자주 쓰는 말)He spilled the drink on purpose to get attention. 주목받으려고 일부러 음료를 쏟았.. 당연하지! You bet! **“of course”**와 “you bet” 둘 다 “물론이지!”라는 뜻으로 쓰이지만,👉 뉘앙스와 상황의 격식도가 다릅니다.아래 정리해드릴게요 👇⸻💬 1. Of course가장 기본적인 표현이에요.의미: “물론이지 / 당연하지 / 그럼요”✅ 격식: 중립~격식 있음✅ 상황: 일상 대화, 비즈니스, 공손한 말 등 어디서나 OK✅ 뉘앙스: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동의하거나 허락할 때📘 예문 • A: Can you help me with this?B: Of course! (물론이지!) • A: Are you coming to the party?B: Of course. (당연하지.) • A: Do you know her?B: Of course, I do. (그럼, 알지.)⸻💬 2. You bet조금 더 .. Should have p.p 했어야 했는데.. 영어에서 **“should have + p.p.”**는 아주 자주 쓰이는 표현이에요.기본적으로는 **“그때 ~했어야 했는데 (하지 못했다)”**라는 후회나 비판의 뉘앙스를 담습니다.⸻🧩 구조should have + 과거분사(p.p.)⸻💬 뜻 1. (과거에) ~했어야 했다→ 그런데 실제로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의미예요.⸻📘 예문영어 문장 해석 뉘앙스You should have told me. 나한테 말했어야 했잖아. (근데 안 말했네?)I should have studied harder. 더 열심히 공부했어야 했어. (지금 후회 중)She should have called you. 그녀가 너에게 전화했어야 했어. (근데 안 했네)We should have left earlier. 더 일찍 출발했어야.. “It’s just as well” = “그게 오히려 잘됐다 / 다행이다 / 차라리 그런 편이 낫다.” 1) 기본 의미 • “It’s just as well” = “그게 오히려 잘됐다 / 다행이다 / 차라리 그런 편이 낫다.”어떤 일이 처음 기대와 달리 일어났지만 결과적으로는 그 상황이 괜찮거나 더 낫다고 느낄 때 씁니다.2) 구조와 자주 쓰이는 형태 • It’s just as well (that) + 문장→ “…한 것은 오히려 잘된 일이다 / 다행이다” • That’s just as well. / It’s probably for the best. / Good thing (that) … 와 비슷한 표현입니다.3) 뉘앙스/상황별 해석 • 다행/위안: 기대하던 것이 실패했지만 피해를 피했거나 더 좋은 결과가 된 경우.예: 약속을 못 지켰는데 그 덕에 악천후를 피했다면 “It’s just as well I di.. 이래라 저래라 하다! order people around! 📌 기본 의미order someone around = “사람을 이리저리 부려먹다 / 마구 지시하다” • 보통 명령을 내리는 사람은 권위적이거나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아요. •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귀찮고 불쾌한 느낌이 담겨 있어요. • 그래서 이 표현은 거의 부정적으로 쓰입니다.⸻📌 뉘앙스 차이 • order 자체만 쓰면 → 단순히 “명령하다” (중립적) • The general ordered the soldiers to move forward. (중립적/군대 같은 상황) • order around → “쓸데없이 자꾸 이래라저래라 한다” (부정적, 짜증 느낌) • Stop ordering me around! (짜증나서 하는 말)⸻📌 자주 쓰이는 패턴 1. order 사람 around • .. Me too는 이제그만! Me too는 이제 그만!대신 사용할수 있는 표현은 뭐가 있을까요~?✅ 공감할 때 (같은 감정일 때) • Same here. → “나도 그래.” • Me as well. → 좀 더 격식 있는 “나도.” • So do I. / So am I. → 동사 시제에 맞게 (예: “I’m tired.” → “So am I.”) • I feel the same way. → “나도 같은 기분이야.” • Ditto. (짧게, 캐주얼하게 “나도!”)⸻✅ 좋아한다/원한다/동의할 때 • Count me in. → “나도 끼워줘.” • I’m in. → “나도 할래.” • Same. (짧게, 젊은 층에서 채팅/대화에서 자주) • Absolutely. → “완전 나도.”⸻✅ 대화 중 가볍게 • Yeah, me too. (여전히 .. It’s no use ~ing! ~해도 아무 소용 없어! 책 읽다가 본 문장 중..There’s no use pretending. 척해도 소용없어!no use에 대해 알아봅시다.**“no use ~ing”**는 영어에서 아주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,👉 “~해봐야 소용없다 / ~하는 건 쓸모없다” 라는 의미예요.여기서 use는 ‘효용, 쓸모’라는 명사적 의미로 쓰이는 거라서, no use + 동명사(~ing) 구조로 표현됩니다.⸻✅ 구조 • It’s no use ~ing = ~해봤자 소용없다 • There’s no use ~ing = ~해봤자 의미 없다둘 다 자주 쓰이고, 같은 뜻으로 교체 가능해요.⸻✅ 예시문 1. It’s no use crying over spilled milk.→ 엎질러진 우유를 두고 울어봤자 소용없다. (= 이미 일어난 일은 어쩔 수 없다.. Keep in touch 계속 연락하자 **“Keep in touch”**는 영어에서 아주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, 계속 연락하자는 뜻이에요.⸻1. 의미 • Keep in touch = 연락을 계속 유지하자 • 주로 헤어질 때, 이별할 때, 다시 언제 만날지 모를 때 사용해요.예문: • It was great seeing you again. Let’s keep in touch!→ 다시 만나서 반가웠어. 앞으로도 연락하자! • After graduation, we promised to keep in touch.→ 졸업 후에도 연락 계속 하기로 약속했어.⸻2. 문법적으로는? • keep = 유지하다 • in touch = 접촉 상태에→ 그래서 “keep in touch” = 연락 상태를 유지하다3. 관련표현4. 간단 정리 • “Keep in tou.. 이전 1 2 3 4 ··· 7 다음